본문 바로가기
흥미로운 기사 및 정보

한랭 알레르기(찬바람 알레르기) 개선방안

by 김다정 2020. 10. 23.
반응형

 
한랭과민증
한랭알레르기라고도 한다. 정상인이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저온에서 단시간에 생기는 한랭과민증상에 대해 임상적으로 명명한 통상적인 호칭이다. 한랭자극 즉 냉고형물 냉수 찬바람, 한기 등에 노출할 때에 발증하는데, 발증온도는 5~300C와 비교적 고온에서 폭이 있어, 더구나 극히 단시간에 발증하는 것이 특징이다. 이러한 점에서 전신체온증이나 동상, 동창(凍瘡) 등의 한랭 상해와는 다르다.

한랭과민증의 분류는 한랭두드러기, 한랭단백질혈증, 그 밖의 증후성 한랭과민증의 3개로 대별한다. 한랭단백질혈증에는 저온글리불린혈증, 발작성 한랭단백질혈증 등을 포함한다. 저글로불린의 점조도는 저온에 높아지고, 이 때문에 혈액점조도의 상승과 한랭에 생리적 혈관수축에 의해 말초순환장해(래이노Raynaud현상)을 보체계의 활성화에 의해 한랭두드러기가 생긴다고 한다.

발작성 한랭혈색소 요증은 만기(晩期)매독환자의 일부에 나타나는데, 저온반응성항체 때문에 급격한 용혈성 빈혈이 생기며 뇨에 헤모글로빈이 나타난다. 그 밖의 증후성 한랭과민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교원병(膠原病), 래이노병, 첨단 청색증(cynosis), 패색성동맥성질환, 신경혈관 장해 등 여러 가지 증상이 있다.




한랭 알레르기(찬바람 알레르기) 개선방안

1. 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함유된 음식 먹지 않는다.

2. 두드러기가 난 부위를 손으로 만지거나 긁지 않는다.

3. 여름엔 찬물 샤워 피하고 겨울에는 방한용품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한다.

4. 운동이나 목욕을 통해 땀을 흘린다.

5. 스테로이드 연고는 전문의의 처방지도 아래 사용한다.

반응형

댓글